세계온난화의 환경오염물질과 독물학
- 전문가 제언
-
○ 기후변화는 화학독성물질 거동과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환경 분포를 변화시키고 생물학적 변화에 잠재력을 갖는다.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는 화학독성물질의 분할에 큰 영향을 준다. 유기탄소 순환은 휘발성을 증가시켜 오염물질 농도를 증가시키고 온도 상승은 오존 생성을 증가시키나 수증기의 증가는 오존을 파괴하여 오존 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이 좋은 예이다.
○ 기후변화는 용매 교환이나 용매 소모를 통해 오염물질의 분해를 촉진시킴으로써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POP)의 환경적인 운명과 활동에 영향을 준다. POP의 휘발과 분할의 증가는 지구온난화와 함께 진행하여 오염물질의 분해를 증가시켜 대기 중에 가스나 에어로졸 상태로 존재하거나 수계와 공간생태계로의 습식 침전을 증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후변화는 또한 살충제의 휘발성의 증가, 습식 침전, 분해와 같은 기본적인 분할 메커니즘을 통해 이들의 운명과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살충제의 빠른 휘발성과 분해로 인해 토양과 수계에서의 농도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감소하는 반면에 강우와 폭우 등의 강도와 빈도 증가는 공간생태계나 수계에서 살충제의 습식 침전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 IPCC는 기후변화가 수많은 사람들의 건강에 거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특히 노인, 어린이, 도시빈민층이나 저소득국가 국민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인간과 기후변화의 상호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어 기후변화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에 익숙하려면 나이, 교육 정도, 보건인프라 및 경제상황 등의 조건을 세밀하게 검토해야 할 것이다.
○ 특히 항상성이나 생물학적인 인내범위의 경계선에 사는 사람들은 항상 온도 상승과 오염물질에 노출이라는 두 가지의 스트레스에 상당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기후변화가 비록 글로벌현상이지만 북미와 유럽에서만 연구가 진행되는 실정으로 이제부터라도 전 세계의 모든 국가가 연구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P. D. Noyes et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35
- 잡지명
- Environment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71~986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