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역사적 건조물 보호를 위한 고분자 코팅: 기회와 도전

전문가 제언
○ 재료과학자들은 최근 역사적 건조물의 보존 및 보호에 관련된 과학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리뷰에서는 역사적 건조물 손상의 중요 원인, 기념물 보호에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의 종류 및 코팅재료의 선정에 중요한 인자인 접촉각에 대하여 개괄하였다. 본 리뷰에서는 보호재료로서 가장 잘 알려진 아크릴수지, 알콕시실란, 플루오르 수지 및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또 옥외의 석재 및 벽돌로 된 기념물의 보존기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는 유기성분 및 무기성분의 장점들을 결합하는 독특한 물성 때문에 역사적 건조물의 보호를 위한 새로운 코팅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에서 무기성분은 코팅재료의 특성상 나노크기가 요구되므로 결국 나노복합체 기술이 역사적 기념물의 보호 보존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에서 문화재 가치가 높은 8만대장경 경판은 옻칠을 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존기술이 이미 오래전에 실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석재기념물(예; 왕릉의 석물, 탑)의 보존을 위해서 코팅을 하는 정책은 아직 도입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발굴된 문화재의 복원 내지 보존에 관련한 보고는 많지만 옥외 석재 기념물의 보존에 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다. 본 리뷰가 석재 문화재의 보존에 코팅기술을 활용하는 방침을 폭 넓게 검토하는데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우리나라에서 역사적 기념 건조물의 보존기술은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문화재 보존과학회 및 각 대학의 보존과학과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의 보호코팅 기술은 다수의 까다로운 물성이 요구되는 다학제간 기술이므로 재료과학, 표면과학, 나노기술 등 여러 학문 간의 공통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저자
Mehdi Sadat-Shojai, Amir Ershad-Langroud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112(4)
잡지명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535~2551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