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도산화공정에 의한 수질환경중의 잔류의약물 제거

전문가 제언
○ 수역 및 토양환경 중의 잔류의약물은 발생원 중심으로 처리하거나 방지해야 한다. 의약산업이나 병원폐수에 함유된 의약물은 AOPs와 각종 산화공정의 결합에 의해 환경수질기준 이하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환경법규에 의한 철저한 점원관리로서도 가능하다.

○ 환경 중에 잔류하는 각종의 의약물은 각 가정과 사무실에서 버려지는 개인의 폐기의약물에 기인한다. 쓰레기통에 버려지는 쓰다가 남은 의약물이나 유효기간이 경과한 의약물이 원인이므로 비점원의 발생원관리 위주이어야 한다. 그 방법의 연구 및 실행에 의해 대처가 비교적 가능한 편이다.

○ 또한 환경 중에 잔류하는 의약물은 인간과 애완동물 및 산업동물(가축/동물원/경주마 등)에서 체내분해(10%이하) 되지 않고 분뇨 특히 뇨를 통해 환경 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비점원관리 방안의 연구가 화급하다.

? 수도권을 대상으로만 추정한다면 2천만 마리 이상의 애완동물이 존재하므로 하루 2백만 리터 이상의 애완동물 뇨가 환경 중으로 배설되지만 가축 의약물의 배출량이나 환경 중에서의 분해율 등에 대한 자료가 전무한 실정이다.

? 특히 동물의 사료에 미리 투입하는 수의약류를 고려한다면 잔류의약물의 추정마저도 불가능할 정도이다.

○ 폐기의약물은 자연적으로 분해되거나 토양에 흡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서는 공공하수처리장 등에서도 처리되지 않은 채 방류수에 함유되어 환경 중에 잔류하게 된다. 그 잔류량과 잔류기간 및 화학적 잔류형상 등에 대한 총괄적, 총량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 유럽과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도 잔류의약물에 대한 연구가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어 아직 초보단계에 머무르고 있으므로 한국에서도 선진국의 연구 수준으로 먼저 발돋움해야 한다.
저자
Maria Klavarioti, Dionissios Mantzavinos, Despo Kassino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2~417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