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보호기법과 정보처리 기법
- 전문가 제언
-
○ 케이블 TV, 위성 TV 등의 시장이 확산됨에 따라 비디오와 오디오의 디지털 컨텐츠가 각 가정에 전송되고 있다. 한편 이를 레코딩하고 가공할 수 있는 가전과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컨텐츠를 복제하고 재배포하는 것이 쉬워졌고 이에 따라 저작권자는 불법 복제와 배포로 인한 수입 손실의 우려가 커지게 되었다.
○ 컨텐츠 배포와 관련된 당사자 간의 이해는 복잡하고 각 당사자를 위한 이익 모델이 발전되어 왔다.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편에 있는 불법 복제나 배포를 관리하는 도구(DRM, CP)와 가전 기기에 투자한 생산자와는 상반되는 이해관계에 있다 할 수 있다.
○ DVB-CP 그룹은 금세기 들어 디지털 컨텐츠 관련 전반에 걸친, 즉 케이블 TV, 음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 등의 타협 영역에서 조건부 접근(CA)으로 배포되는 공중파 컨텐츠의 불법 복제나 배포를 방지하기 위한 비지니스 모델(CPCM)을 시장에 내놓았다.
○ 이의 기본 기법은 허가된 기기나 컨텐츠 또는 네트워크의 도메인을 정하여 그 안에서만 복제나 배포가 가능하게끔 하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조건에서 디지털 홈 환경의 개인 저장 컨텐츠에 대한 취급, 허가 관리, 도메인 관리, 폐기처리 등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 본 발명도 DVB-CP 종류의 기술로 공중파로 전달되는 방송 컨텐츠를 함께 첨부되어 입력되는 폐기절차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폐기할 것이냐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는 컨텐츠와 폐기 절차정보를 받아들여 이를 본 발명시스템의 컨텐츠로 변경시키고, 컨텐츠 허가증을 만들어 첨부하고, 이 허가증에 설정된 값에 따라 컨텐츠를 폐기 또는 사용케 한다.
○ 최근 IPTV까지 가세한 디지털 컨텐츠 배포 시장은 날로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막과 같이 광역에서 무선으로 케이블 TV를 실현할 때 와 대중을 상대로 한 공공 메시지의 처리에 장점이 있는 만큼 날로 정교해지고 이해가 첨예한 CPCM 시장에서 표본 모델로 벤치마킹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LG Electronics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8
- 권(호)
- WO2008008820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
- 분석자
- 신*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