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플라스틱의 혁신과 공업화 동향

전문가 제언
○ 20세기 초에 막을 연 플라스틱 산업은 석탄화학?석유화학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다. 값싸게 대량 생산되는 플라스틱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조정하여 가공함으로써 이미 우리들 생활과 산업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서 대량으로 생산?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안정성이 요구되어 개발되어온 화학 합성 플라스틱의 대부분은 자연환경 중에서는 난분해성이기 때문에 대량의 플라스틱 쓰레기의 관리와 처분, 바다나 산 등의 자연환경에 유출된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 바이오플라스틱은 새롭게 부각되는 혁신 산업 분야의 하나이다. 그 특징은 화학, 바이오기술, 농업, 소비자 분야 상에 새로운 협력과 시너지 효과를 필요로 한다. 본 문헌에서는 다양한 바이오플라스틱의 최근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황을 살펴본다.

○ 생분해성 여부,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재생자원의 사용 여부, 생산자와 그들의 생산 및 바이오고분자 가공 설비능력 등을 개괄한다. 최근 10년 동안의 바이오플라스틱에 관한 과학 문헌과 특허수를 비교하고, 향후 5년의 새로운 산업설비 예정을 살펴봄으로서 혁신 이슈를 열거한다. 이들의 발전이 이루어지는 시나리오를 평가하고, 기술적 및 산업 발전의 가까운 장래의 동향을 전망한다.

○ 최근 환경의식이 높아진 것과 함께 생분해성 플라스틱이나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에 대한 기대는 점점 커지고 있다. PHA이 미생물 합성은 범용 플라스틱 소재의 생산에도 미생물의 능력이 적용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그의 생합성을 이용한 광학활성 물질의 생산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 비석유화학 원료, 즉 재생 자원으로 만들어진 고분자재료가 최근 상업적으로나 연구적 측면에서 상당한 관심과 활력을 얻고 있다. 바이오매스(biomass)와 같은 매년 재생되는 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플라스틱을 제조함으로써 경제적 및 환경적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재료에 대한 제조 방법, 개질, 특성 향상, 새로운 응용에 대한 기초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 결과 얻어진 새로운 재료, 개념, 활용용도가 재생 원료 고분자의 미래를 만들어 갈 것이다.
저자
Antonio U. B. Queiroz, Fernanda P. Collares-Queiro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9
잡지명
Polymer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5~78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