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로 전파되는 감염성 질환
- 전문가 제언
-
○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수혈, 혈액 제품의 생산, 장기 이식 등이 획기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부수되는 문제점 중의 하나는 많은 감염성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발생 문제이다.
○ 과거 20년 사이에도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새로이 확인되고 있다. 수혈 당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던 많은 감염 병원체가 전파가 증가되고 진단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질병 대책에서 그 중요성과 의의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 본 논문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근래 69종류의 새로운 병원체가 출현되거나 다시 그 전파가 증가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웨스트나일 바이러스가 새로이 전파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비 바이러스에 속하는 이 질병은 사람에서 항체가 나타날 때에는 혈액에서의 바이러스 양은 극히 적었다. 그러나 근래 핵산을 진단의 기술로 택하게 되고 그 감도가 증가됨에 따라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도 수혈 혈액으로 문제가 될 수 있음이 부각되고 있다.
○ 혈액과 장기 이식에 따른 감염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바이러스를 검사할 수 있는 진단 기술의 향상이 필요하다. 이들의 검사 기준도 보다 엄격할 필요가 있다. B형 간염의 경우 면역 기능이 정상인에게서는 재활성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면역이 결핍된 경우에는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로부터 재활성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 바이러스나 원충 같은 병원체의 안전을 위한 대비책을 수립함에 있어 병원체의 주요성과 범위는 국가와 지역 그리고 의료 기술의 발전 수준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자의 수가 많아 문제가 되나 우리나라에서는 중요성이 거의 없다. 오히려 같은 플라비 바이러스에 속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의 안전성을 정확히 평가해야 한다.
○ 수혈과 장기 이식에서 오는 감염병 대책은 급속히 변하는 시대의 수요에 부응하여 적합하고 충분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Jean-Pierre Allai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37(2)
- 잡지명
- Biologic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71~77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