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와 세포치료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본 분석물에서는 줄기세포와 이 분야의 발전에 관한 현황과 전망을 다루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현대 의학의 가장 획기적인 분야가 진단과 이식 분야이다. 미생물학과 면역학의 발전으로 이식 분야의 많은 난제가 해결되었으며 앞으로도 미해결 과제의 많은 부분이 해결되어 장기 및 조직 이식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성공적인 장기 및 조직 이식을 위해서는 관계 분야 기술의 뒷받침이 있어야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과거에는 조직을 제공하는 사람이 C형 간염의 항체가 없으면 문제가 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하였으나 핵산 기술의 발전으로 숙주 내에 C형 간염 핵산의 탐지로 인하여 양성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있게 되었다. 더구나 많은 바이러스 병원체의 경우 현실적으로 모든 병원체를 검사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미지인 병원체가 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 사용되는 장기와 조직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안전과 품질 관리를 위하여 많은 규정과 시설 및 운영에 따른 문제가 대두되어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질병관리본부(CDC)가 2005년에 조직 및 장기의 안전을 위한 워크숍을 구성하여 관계분야 종사자 간의 보다 향상된 네트워크 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장기의 보고, 정보 확산, 시설 등에 관하여 많은 추천을 마련하였다.
○ 제공 장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즉각적인 대응 조치가 가능할 수 있는 제도 수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 2005년에 FDA가 미국 내에서 발생하는 조직의 회수, 처리 절차 및 분배에 관한 기준을 포함한 규정을 발간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들 선진국의 추세에 부응하여 관계 법규의 제정, 배부 및 홍보가 필요하다. 국내의 관계 기관과 전문가들 사이의 협력기구의 설립이 요구된다.
○ 나아가 많은 경우 국제 간 감시가 요구되고 있다. 후진국으로부터의 보증 받지 못한 장기 및 조직이 유통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합리적인 대응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WHO 등 국제기구와의 제휴에 의한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 저자
- Michael Strong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37(2)
- 잡지명
- Biologic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3~107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