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항원 유전자 전이 마우스 모델
- 전문가 제언
-
○ 암을 연구하는데 있어 폴리오마 바이러스는 세포의 배양이나 생체실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유전자전이 마우스 역시 실험모델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1980년대 초에 유전자전이 마우스를 만드는 기술과 여러 가지 암 유전자의 발견 및 클론기술이 동시에 연구되어 암 연구에 모델을 만들어 냈다.
○ 마우스에서 큰 T 항원(large T antigen)을 포함해 SV40 서열의 발현으로 특정조직에서 암이 발행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때까지는 암 모델은 주로 사람이나 마우스의 세포라인을 기초로 배양과 면역결핍 마우스 피부에 접종하는 것으로 암의 대한 유전이나 분자경로를 이해하거나 in vivo에서 발생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 T 항원은 다양한 프로모터의 조절로 여러 가지 세포와 조직에서 발현되어 유선, 췌장, 간, 전립선, 타선, 장, 뇌, 폐, 신장, 눈, 평활근, 연골, 골 등에 발현시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 antigen이 Rb 단백질(pRb, p130, and p107)을 불활성화 시켜 휴지기의 세포에서 세포주기를 유도하고 전사인자의 활성과 DNA의 합성단계(S-phase)로 들어가게 한다.
○ 동시에 T antigen을 발현하는 유전자전이 마우스에서 T antigen은 p53의 작용을 차단하여 세포주기가 진행되고 있는 세포는 그 과정을 정지시키고 세포사를 유도한다. 이 리뷰에서는 T antigen의 변이와 특정 서열을 여러 가지 조직과 세포 타입에 발현함으로써 in vivo 암 발생에 대한 분자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지난 몇 십 년 동안 학자들은 암을 없애기 위해 더 많은 양과 더 독성 있는 약물을 개발하고 있지만 마치 외래종이나 작물들이 농약에 적응하듯이 암세포도 점점 적응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따라서 암에 대한전쟁에서 암과 같이 살아가는 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학자도 있다.
- 저자
- Maria Teresa Saenz Robles, James M. Pipa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9
- 잡지명
- Seminars in Cancer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29~235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