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주의 재생에너지자원 획득과 녹색일자리 사업계획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캘리포니아 주의 재생에너지 자원 획득과 녹색일자리 사업계획”을 주제로 하여 캘리포니아의 재생에너지와 경제적 혜택, 재생에너지 부문의 사업 사례, 캘리포니아의 상황, 재생에너지로 인한 잠재 고용의 지역적 사례, 녹색일자리 사업계획의 추진과 개혁 아젠다,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생에너지 자산의 적극적인 증대로부터 캘리포니아가 얻게 될 여러 가지 혜택을 기술하고 있다.
○ 재생에너지는 풍력, 태양열, 태양광발전, 지열, 소형 수력, 바이오매스, 바이오 연료 등 기존의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탄소 발생이 없는 친환경적, 재생 가능한 비고갈성 에너지 또는 기술 개발에 의해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에너지이다. 각국은 최근 세계 경제의 침체와 함께 어려워진 국가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녹색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 오늘날 세계 여러 국가들은 에너지 R&D 중 상당 부분을 재생에너지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해 투자하고 있으며, 선진 공업국은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해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미래의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을 위해 외부 자연환경을 이용한 재생에너지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정부는 에너지수요에 대비한 재생에너지 개발에 정책 지원을 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이용·개발·보급 촉진법’ 제2조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태양,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11개 분야를 지정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이용 비중과 기술개발 투자가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고 기술 수준은 선진국의 50-70% 수준이며, 재생에너지가 국내 1차 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다. 그러므로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 개발 및 보급의 체계적 수행과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고, 아울러 재생에너지 외에 가스하이드레이드 개발 등 차세대 미래에너지 확보에도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Peter Asmu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8
- 권(호)
- 잡지명
- Center for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Technologies, California Repor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40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