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조 로봇의 최근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1995년 1월 일본에서는 2차 대전 이후 최대 규모의 한신대지진이 발생하여 약 6400명의 사망자와 약 25만 채의 가옥이 파괴되는 최악의 피해를 경험하였다. 그 후 공학 분야에서 토목, 교량, 건축물 등에 대한 내진설계의 한계치를 설정하는 것은 물론 설정 한계를 초과하는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그 피해를 최소로 축소하는 “재해감소”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 최근에는 재해예방과 재해감소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도시의 안전대책, 도시설계 및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재해가 발생한 후 수 시간 내에 생존율을 높이고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재해 감소기술의 하나인 구조로봇의 개발 착수동기로부터 실용화 동향에 대해 설명한다.

○ 일본 문부과학부가 2002년부터 5개년계획으로 추진한 “대도시 지진재해감소 특별프로젝트”의 세부과제의 하나로 “구조로봇 등 차세대 방재기반기술의 개발“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과제는 4개의 임무단위(MU : mission unit)별로 개발팀을 구성하고 각 개발팀은 지진 재해지역에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해당 임무에 적합한 구조로봇기술(RRT : rescue robot technology)을 제안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최근 미국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는 텍사스에서 구조로봇의 성능시험 표준개발 및 구조로봇 훈련과정을 개최하였다. 이 훈련과정에서 논의된 통신과 조작시험은 ASTM에 의해 구조로봇 시험표준으로 채택될 전망이다.

○ 국내 대학과 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구조로봇의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것은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구조로봇은 사회성이 높은 로봇기술 분야이며 국가재난에 대비한다는 인식하에 관이 주도하고 산학연이 참여하는 국가프로젝트로 개발과 수요창출을 동시에 추진할 것을 제안한다.
저자
Tomoharu Do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8
권(호)
60(8)
잡지명
機械の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26~836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