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고형폐기물 퇴비화와 마켓 잠재력

전문가 제언
○ 인구증가, 밀집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도시고형폐기물(MSW)이 점차 증가해서 그 처리방법에 모든 나라가 고심하고 있다. 미국에서도 매년 약 2억5,400만 톤의 MSW가 발생하고,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도 매일 1인당 0.6~2.0㎏의 MSW를 배출하고 있다.

○ MSW의 조성은 지역 소득수준,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생활환경의 변동으로 매년 그 성상이 변동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MSW 처리시설 또는 기존시설의 개선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MSW 데이터와 함께 대상년도의 데이터를 외삽법으로 추정해야 한다.

○ 이웃 일본에서는 도시쓰레기의 소각 후에도 막대한 양의 소각재를 용융시켜 건설자재로 사용하고 있지만 광역시의 경우에는 30년 이상의 MSW의 데이터를 유지한다. 이들 데이터의 조성에 따라 발열량, 금속성분 등을 판단해 시설개수 및 운전조건 변경에 반영할 수 있다.

○ 1980년대에 서울시가 발주한 난지도 도시쓰레기 처리시설은 영국에서 기초조사 및 기본설계를 하였으나 조사기간의 부족으로 정상적인 가동이 불가능해서 세간의 비난을 감수해야만 했다.

? 최근에도 처리량의 과다산정, 발열량의 과소 등으로 설계과정에서 제시된 운전조건을 준수하지 못하는 사례가 허다하므로 많은 노력이 기초조사에 투입되어야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 본 원고에서는 MSW의 전처리시설(MBT)과 함께 MSW의 퇴비화에 의한 타 용도 개발도 소개하고 있다. MBT 과정은 위생화, 바이오분해 및 숙성단계로 구성되고 MSW의 퇴비화에 의해 농업 및 원예용은 물론 오염지역의 정화, 황폐지역의 영양공급 사례를 제시하였다.
저자
M. Farrell, D.L. Jon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00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301~4310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