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전지원 시스템 현황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가 인류 생활 속에 파고들어 정착되면서 그로 인하여 생활의 변화와 인간문명의 발달에 엄청난 기여를 해왔다. 반면에 그로 인한 교통사고는 많은 사람을 부상과 사망에 이르게도 하였다. 이제는 편리성의 추구는 물론이고 안전성 및 환경성에서도 인류에게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 교통문화를 형성시켜 나가야할 시대가 도래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ITS(Intelligernt Transportation System)은 최첨단 정보통신기술 등을 이용하여 교통 시스템을 개량하는 기술 및 활동의 총칭이다. 일본에서는 ITS를 ‘고속도로 교통 시스템’이라고 명명하고 1995년 당시 5개 정부부처(경찰청, 통상산업성, 운수성, 우정성, 건설성)가 중심이 되어 시작되었다. Toyota 자동차는 ITS 기술을 활용한 교통사고 저감을 목표로 한 ‘인프라 협조에 의한 안전운전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안전기술, 차량개발 방향성을 나타내는 안전기술 및 시스템의 제휴를 통하여 운전 상황에 따른 최적의 운전지원을 실시하고 사고를 내지 않는 자동차 실현을 목표로 하는 안전기술/차량개발의 개념인 ‘통합 안전 콘셉트’에 근거하여 차량에 탑재된 각각의 안전장비 및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차와 도로 인프라, 다른 차량, 보행자와의 제휴를 가능하게 하는 ITS 기술을 활용한 인프라 협조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이제는 도로도 단순히 이동을 위한 길에서 운전자의 안전운전지원 시스템으로의 진화를 시작하였다. 선진안전자동차(ASV)와 주행지원도로 시스템(AHS)을 일체화한 스마트 자동차 시스템(주행지원 시스템)은 도로 상에 설치한 각종 센서에 의해 전방 지체상태나 장애물, 교차로에서 마주오는 차, 보행자, 노면의 건조나 습기상태, 결빙상태 등 도로 상태와 노면 상황을 항시 감시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이 자동차와 도로를 정보통신기술로 한데 묶은 주행지원 시스템이야말로 ITS 실현의 열쇠를 쥐고 있는 인프라인 것이다.
- 저자
- Sadayuki Tsug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3(2)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2~18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