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향통신 형 재해감소 통신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미국에서는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때 신속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재해정보 전달체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재해에 대한 통신 안전을 고려하여 무선통신을 위주로 한 통신체계를 구축하고 재해 단계별로 종합 재해정보 전달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 자연적 재해 및 인위적 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재해 대응 활동의 위험성을 경감시키고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고도의 정보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구조용 로봇, 센서 네트워크, 쌍방향 통신형 재해감소 통신 시스템 등은 구조 활동, 재난 관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통신 기기 및 시스템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재해가 발생한 직후 재해에 대한 개략적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는 일은 적절한 대응 계획을 세워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이에 따라 재해감시용 센서 네트워크, 쌍방향 통신형 재해감소 통신 시스템 등을 이용한 정보수집 등이 실현되고 있다.
○ 미국 지리협회는 조기 적발 및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지진 방재 전략에 따라 향후 10년 동안 지진피해 수준을 현재의 1/2로 경감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소방방재청이 개청되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있다. 소방방재청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 국가재난관리 정보화 기본계획에 따라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본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1)정보수집, 처리, 대응의 동시성 확보, (2)재난정보의 공유 및 공동 활용 기반 강화, (3)현장 중심의 정보 활용 시스템 구축, (4)전 국민을 위한 재난 종합서비스 기능 강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의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의한 후속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Geiichi GOTO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8
- 권(호)
- 20(9)
- 잡지명
- NTT技術ジァ-ナ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30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