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이금속을 포함하는 미셀 수용액
- 전문가 제언
-
○ 계면활성제는 머리 부분의 친수성 영역과 꼬리 부분의 소수성 영역이 한 분자 내에 존재하므로 두 상이 만드는 계면에 흡착하여 계면을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계면활성제는 동일한 성질을 가지는 부분이 이웃하는 분자와의 상호작용으로 미셀을 구성하며 구조가 잘 제어된 구조를 만들면서 자발적으로 자기조직화 하는 능력을 가진다.
○ 계면활성제는 최근 까지도 젖음, 가용화 등과 같은 물리적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적 측면이 중시되었으나 생체 내에서 세포벽을 이루고 있고 계면활성제와 금속이온의 결합에 의한 생리적 기능이 알려진 이래 계면에 결합된 금속에 대한 연구가 콜로이드과학의 새로운 연구 대상 분야가 되었다.
○ 물과 기름에 대해 친화성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의 머리 부분에 도입된 천이금속(d 또는 f궤도)과 계면활성제가 형성하는 메탈로 계면활성제는 루이스산과 레독스 활성과 같은 화학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발색, 상자성 또는 형광과 같은 물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데 메탈로 계면활성제의 기능성은 메탈로 계면활성제의 양친매적 구조로 인하여 활성이나 자기조직화 특성이 계면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본고에서 말하는 메탈로 계면활성제(metallosurfactant)와 다른 의미를 가진 메탈화 미셀(metallated micelle)과 구별된다. 메탈화 미셀은 금속착체가 계면활성제와 공유결합을 형성하지 않고 통상적인 계면활성제의 미셀에 가용화 된 금속착체를 의미한다.
○ 본고에서는 메탈로 계면활성제의 두 가지 특성을 소개하고 있는데 메탈로 계면활성제는 통상적인 계면활성제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기도 하나 통상적인 계면활성제에서는 관측되지 않는 비고전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하여 메탈로 계면활성제는 독특한 구조와 반응성을 보인다. 본고는 계면활성제의 새로운 활용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Peter C. Griffith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8
- 권(호)
- 144(1)
- 잡지명
- Advances 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3~23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