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용 백금촉매의 미립자기술
- 전문가 제언
-
○ 지금 세계는 화석연료 사용으로 환경오염의 심화와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가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미래의 화석연료고갈에 대비하여 대체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친환경적이고 재생가능한 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수소경제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연료전지는 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효율적이면서 친환경적인 동력발생장치로 수소와 산소가 직접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며 부산물로 열과 물을 배출한다. 특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가정용이나 자동차 동력원으로 현재 상용화에 가장 근접한 연료전지 기술이다.
○ 연료전지의 산소와 수소의 반응 시 촉매역할을 하는 백금은 세계전체의 추정매장량이 7만 톤 정도로 소량이고 가격도 높아 기술적인 면에서뿐만 아니라 자원면에서도 문제가 되어 연료전지의 실용화 보급에 큰 차질이 예상되고 있어 백금촉매의 고활성화와 고내구성에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 백금촉매의 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백금을 1nm 이하로 미립화 하는 것이 필요하나 미립화 하면 내구성이 낮아진다. 카본 블랙과 같이 표면적이 큰 탄소분말에 백금 미립자를 분산시킨 「백금 카본촉매(Pt/C촉매)」를 사용하게 되고, 이종금속과의 합금으로 순수한 백금촉매보다 높은 산소환원활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고활성화와 고내구성을 위한 미립자 기술이 정립되지 못한 것 같다.
○ 연료전지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겠지만 순수한 수소를 어떻게 공급을 받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지구에 매장되어 있는 화석연료(가스)보다는 바이오 가스가 유가상승에 따른 연료가격의 연동상승을 줄일 수 있고, 고온형 연료전지가 저온형 연료전지보다 효율이 높으므로 이 분야에 대한 국내고유의 기술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 저자
- Minoru INAB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8
- 권(호)
- 40(10)
- 잡지명
- 粉體と工業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7~42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