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수슬러지 중금속의 바이오침출

전문가 제언
○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환경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하수처리장을 건설하는 지역도 확대되었고 또 고도처리시설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하수처리장을 운영하면 막대한 활성슬러지가 발생한다.

○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이러한 하수슬러지를 매립, 바이오가스로 이용하였고 최근에는 소각처리하고 있다. 후진국에서는 활성슬러지가 갖는 영양성분 때문에 토양에 비료로 산포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일부지역에서도 퇴비화 시켜 비료로 전용하고 있다.

○ 이러한 하수슬러지에는 0.2~2%의 중금속과 병원체가 존재하므로 토양에 시비하면 먹이그물을 통해 인체 내로 흡수되어 대사장애와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본 원고에서는 하수슬러지에서 중금속과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운영비용이 저렴한 바이오침출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공정은 통상적인 산처리 공정에 비해 약품비용을 20%로 절감할 수 있지만 처리기간으로 16~20일이 소요되고 큰 시설부지가 필요한 것이 약점이다.

- 바이오침출 과정에서 산에서 적응할 수 있는 유황산화박테리아 또는 철산화박테리아를 적용시키며 에너지원으로 원소상태의 유황 또는 황산제일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 하수슬러지는 비료성분이 풍부해서 질소, 인 등과 같이 수중의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물질이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적정량을 시비하고 토양에서 유출되는 양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잉여 활성슬러지는 생물응집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도개발도 긴요하다고 본다.
저자
A. Pathak, M.G. Dastidar, T.R. Sreekrishn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90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43~2353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