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olyglutamine병에 있어서 신경변성 메커니즘_최근의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 Polyglutamine병은 원인유전자의 번역영역에서 3염기가 반복하는 배열(CAG repeat)에 있으며 이의 이상으로 인하여 신장하게 됨으로써 발증하는 질환의 총칭이다. 1991년에 구척수형근위축증의 환자에게서 Androgen 수용체의 제1 엑슨에 존재하는 CAG가 반복의 이상으로 신장되고 있는 것이 발견되면서 신경변성질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 Huntington 무도병은 1860년 노르웨이 의사 요한 크리스티안 룬트 (Johan Christian Lund)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후 1872년 미국인 의사 조지 헌팅턴(George Huntington)에 의해 소개되었다. 이 병은 춤춘다는 뜻으로 chorea라고 불렀으며, 이는 환자들 몸의 움직임이 유연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급작스럽게 시작해서 급작스레 멈추는 동작이 마치 춤추는 것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 이 질환은 뇌 선조체(striatum)의 신경세포가 퇴화되어 마침내 사멸되도록 유전적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발증하게 되며, 선조체는 몸의 움직임을 통제하는 신경세포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동작억제기능이 소실되며 몸의 움직임을 환자 스스로가 조절하지 못하게 되어 지력을 잃게 되고 정서적으로도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다.

○ Polyglutamine병의 신경변성 메커니즘의 최근의 연구동향은 기본적으로 Polyglutamine 단백질이 가진 세포장애성(Gain of toxic function)의 해명에 연구가 진전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핵 내 응집체 그 자체보다 오히려 적은 응집체나 Oligomer에 독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가장 유력한 메커니즘은 전사장애설로 다수의 전사인자의 관여가 보고되고 있다.

○ 본 리뷰에 의하면 Autophagy, Proteasome계 등의 단백질의 품질관리 파탄과 Polyglutamine 단백질의 번역 후 수식이 병태와 깊이 결부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의 질환에서는 Polyglutamine 단백질의 기능상실(loss of function)이 병태와 관계되고 있는 것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
Tsunemi Tai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8(5)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43~447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