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산처리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셋톱박스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에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고속의 그래픽 처리를 위한 고성능 셋톱박스의 기능이 요구된다. 이 기술은 각 가정 내의 고성능 PC를 이용하여 셋톱박스에서 수행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관련 프로세스를 분산처리하여 셋톱박스의 부하를 줄여줌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 튜너를 내장한 기기마다 프로세싱 전력을 필요로 하는 그래픽 처리모듈을 개별적으로 갖고 있어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여 튜너와 그래픽 처리기능을 모두 갖고 있는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선택의 동기를 맞추는 기능은 물론 GUI를 통해 사용자가 그래픽 정보를 직접 시각적으로 보면서 양방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은 향후 TV에서 방송을 보면서 인터넷 검색을 한다거나 홈 쇼핑과 같은 양방향 서비스를 하게 될 경우 끊어짐이 없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이 기술의 핵심은 분산처리 기술로서 기본적으로 PC(또는 유사장비)와 홈 네트워크 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장치와 미디어 출력장치가 적어도 2대 이상일 때 투자대비 효용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가정 내의 모든 미디어 출력장치(TV, 모니터)와 PC 및 사용자 단말장치(셋톱박스 등)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고도의 홈 네트워크 구축기술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장치 및 다종다양한 각종 모바일기기 간의 표준화된 접속규격이 절실하다.
- 저자
- COMCAST CABLE HOLDINGS, LL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6164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2
- 분석자
- 이*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