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정밀 공작기계의 가공기술동향

전문가 제언
○ 21세기에는 휴대전화기, 디지털카메라,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고기능 소형 고정밀을 요구하는 정보통신, 전자산업, 정밀기기, 생명공학 등이 산업구조의 핵심이 될 것이다. 이러한 첨단기계장치의 편리성,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의 고성능, 편리성, 콤팩트성과 함께 제품과 부품의 고정밀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최근 공작기계를 사용하는 여러 산업 분야의 강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공작기계는 고속 고능률가공의 진보에 이어 고정도 및 고정밀도의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고정밀 공작기계란 고정밀도로 미세한 가공을 수행하는 공작기계를 의미하며 향후 고정밀 공작기계의 관건은 자동운전으로 어느 정도까지 고정밀도 미세가공을 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 매년 고정밀 가공 및 측정 기술에 관한 특허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주파수 변환을 이용한 정밀시간측정, 음향 방출신호에 의한 온라인 표면 거칠기 측정, 3축 자기센서를 이용한 방위측정, 고 분해능 신호처리 기술을 이용한 초고속 온도측정, 초음파 온도측정 센서 및 장치 등 가공 중 계측가능 기술들은 고정밀 가공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일본 야마가타 현의 경우 가공기술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관련기관과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공동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즉 공업기술센터, 고도기술 연구개발센터 등 연구기관과 또 야마가타 대학, 게이오기쥬쿠 대학의 생명과학 연구소 등 교육기관과 관련기업과의 제휴를 주선하여 공동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 우리나라 산업은 앞으로 컴퓨터, 반도체, 자동차와 같은 기술 집약산업의 국가경쟁력 확보가 관건이 된다. 이 첨단 선도 산업에 필요한 초정밀제품을 고능률로 생산할 수 있는 고정밀 가공기술의 개발에 산학관이 협력하여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저자
Makoto Sa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8
권(호)
60(1)
잡지명
機械の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5~191
분석자
나*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