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연구 인프라의 전략적 로드맵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호주 연구 인프라의 전략적 로드맵”을 주제로 하여 배경과 범위, 전략적 방향, 호주 연구 인프라의 전략적 로드맵 실행, 규모적 인프라, 역량의 주요 영역,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6년 로드맵의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작성되어 호주 연구 역량의 향상 및 전개가 초점이 두어지는 영역을 기술하고, 이러한 연구 역량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한 미래 투자에 관련한 의사결정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지난 4년에 걸쳐서 호주가 연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계획하고, 우선순위화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순위 연구영역을 지원하고,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 조성의 필요성을 인정한 새로운 투자방식이 생기게 된 것이다. 이 새로운 접근방식은 전략적이고, 협력적 접근을 촉진하며, 호주에게 21세기의 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국가 연구 시설과 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 연구 인프라는 과학자 사회가 각자의 분야에서 고급 연구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시설, 자원, 서비스 및 지원인력을 일컫는다. 이는 사회과학에서부터 유전학, 나노기술을 거쳐 천문분야에 이르는 방대한 과학영역을 포괄한다. 유럽에서 가장 잘 알려진 대표적인 연구 인프라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 유럽남방천문대 등으로서 연구 인프라에 대한 전망을 강화시킨다는 비전에서 연구 인프라를 위한 새로운 온라인 포탈이 구축되었다.
○ 어떤 연구 인프라는 세계적인 과학 발견과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그러한 연구 인프라의 명성이 세계적인 역량을 인정받는 연구원을 끌어들일 수 있고, 국가 차원의 연구사회 간은 물론, 서로 다른 과학 분야 간의 연결과 협력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다.
○ 이 글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연구 인프라 확충 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면서 차세대 성장동력을 위한 연구 인프라 구축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특히 연구기관의 연구 인프라를 극대화하여 연구소를 구심점으로 하는 전략적 기본 연구 분야에 대한 유기적인 연구체제를 확립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Department of Innovation, Industry, Science and Research, Austraili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8
- 권(호)
- ~(~)
- 잡지명
- Department of Innovation, Industry, Science and Research Report ISBN 0 642 72613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9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