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형 MEMS 가속도계/자이로스코프
- 전문가 제언
-
○ 현재 자동차산업 등에서 저가격의 관성측정 장치가 많이 응용되고 있다. 이 발명은 MEMS 기술을 이용,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결합하여 관성측정의 코스트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제안하고 있는 고안이다.
○ 가속도계나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센서시스템에서는 이미 MEMS형 디바이스로 전환하였고 소형화와 낮은 에너지소비, 낮은 코스트를 달성해 왔다. 이 발명 역시 MEMS 기술을 응용하여 2차 모드에 관련된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근래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온 ΣΔ 힘-피드백 루프 방식을 이용하였다.
○ 그러나 이 고안은 새로운 기술적 방법을 제안한다기보다 센서클러스터를 도입하여 코스트 절감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가속 및 회전과 관련하여 모든 자유도 6도의 적용범위를 커버하기 위해 XYZ 3개축에 따라 측정하고 이를 정렬된 센서클러스터에 의해 달성한다.
○ 국내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들은 이미 이 기술영역에서 세계 정상수준에 이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외 특허출원도 국제수준이다. KIPRIS 특허검색에서는 검색어 ‘gyroscope’의 경우 610건(2009.6.28 현재), ‘accelerometer AND gyroscope’는 54건이다. 이중 상당건수가 MEMS형 구조를 택하고 있다.
○ 국내출원인 중에서는 삼성전자(주)가 가장 두드러진 출원활동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계를 이용한 이동체의 속력측정 장치 및 그 방법”(1020030050221, 2003.12 출원, 2005.9 등록) 등 다수가 있고, LG전자(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운용, 1020070000347, 2007.1 출원), 전자통신연구원(위치추적 장치 및 방법, 1020070083477, 2007.8 출원, 2009.4 등록) 등이 있다.
○ MEMS 기술은 MEMS+MEMS, MEMS+나노기술, MEMS+반도체와 같이 융?복합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의 관성측정 장치의 개발에 이러한 추세반영을 통한 특허출원과 기술선점을 기대한다.
- 저자
- Melexis NV, Universiteit Gent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057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3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