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인리스강의 3차원 연성파면에 대한 푸리에 해석
- 전문가 제언
-
○ 재료의 파괴는 모든 소재에서 발생하여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소성가공의 커다란 장애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것은 역학적인 문제인 동시에 원자 간 결합성에 깊이 관련되고 있어 구조 재료와 기능 재료 등 모든 재료에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 안전한 재료 개발에는 파면형태의 정량해석이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고Cr 페라이트 단상 스테인리스강의 인장 시험 후 연성파면 과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2상 스테인리스강의 샤르피 시험 후의 연성파면에서 3차원 영상의 푸리에 해석을 소개하였다.
○ 석출물 경 및 석출물 간 거리와 딤플 파면의 형태관계를 조사한 결과 1차 딤플은 석출물경이 커지면 낮아지고 한편 2차 딤플은 석출물 간격이 넓어지면 낮아졌으며, 이들의 파면형태가 연성파괴 에너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재료의 파괴에 대한 연구 역사는 오래 되었고 축적 데이터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나, 한편으로는 그 원리적 연구에 극히 한정되어 있고 실용화와는 동떨어져 연구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실용적 재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재료의 파괴는 경험적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한편으로는 지금까지 추진되었던 기초 연구와 함께 재질별로 실 제품에 접근시켜 추진해 나가 좀 더 산업에 응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저자
- FURUKIMI Osamu, YAMADA Nao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9(1)
- 잡지명
- 金屬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1~26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