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모방공학의 접합기술
- 전문가 제언
-
○ 생체모방 기술(Biomimetics)은 살아 있는 생물의 행동이나 구조, 그들이 가지고 있는 물질들을 모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것으로 Bio와 Mimetics(모방)이란 단어의 합성어이다. 생체모방이라는 개념은 거의 인류의 탄생과 합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긴 역사에도 불구하고 생체모방 공학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기술이 발전된 것은 나노기술의 발달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종래의 접합기술은 접합부의 신뢰성이 높은 것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분리가 곤란하였다. 최근의 제품제조에는 제품의 리사이클링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여야 하며, 이 경우 분리나 해체기술이 중요하다. 따라서 분리가 쉬운 접합기술의 개발은 순환형 사회구축에 필요한 것이다.
○ 이 문헌에서는 자연계의 가역적인 접합 아이디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 하나는 모든 표면을 수직이나 역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진화된 소동물의 다리의 가역적인 접착성이다. 다른 하나는 가을이 되면 자발적으로 잎이 떨어지는 낙엽의 기구이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가역성에 착안한 생태모방 접착 연구에 대하여 소개한다.
○ 도마뱀 형태의 접착은 가역성 접착이 기대되고 있으나 높은 박리강도를 기대하는 것은 접착 메커니즘에서 한계가 있다. 도마뱀 형태의 접착은 수직인 표면을 이동하는 로봇의 보행이나 반복성이 높은 접착부 등에 도입하는 것은 좋은 기술과제이다.
○ 이러한 생체모방 기술보다 한 단계 진보된 개념이 자연모방공학이며, 지구환경에 최적화된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새로운 기능과 소자, 시스템을 개발하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 국내는 서울대학, 포항공대, 한국기계연구원 등에서 기초연구를 하고 있으나 실험실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이 분야는 물리, 화학, 생물 등의 기초과학과 재료, 기계, 전기전자 등의 공학기술이 융합된 기술이다. 이제 새롭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므로 연구개발에 투자를 통하여 높은 기술수준의 분야로 성장되길 기대한다.
- 저자
- Naoe Hoso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48(4)
- 잡지명
- まてりあ(日本金屬學會會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65~169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