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ama 정권의 핵 비확산과 원자력정책
- 전문가 제언
-
○ 2009년 4월 5일 Praha에서 Obama 대통령은 장기적 목표로 핵무기가 없는 세계를 지향한다는 연설을 하여 주목을 받았다. 군축이나 핵 비확산에 관해서 처음으로 발표한 포괄적 정책 중에서 말한 것으로, 연내에 제1차 전략무기삭감조약(START I : Strategic Arms Reduction Treaty)의 후속조약을 체결할 의사도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핵 비확산·원자력에 대한 정책 표명, 또 주요 각료의 인선 등을 근거로 특히 원자력 평화이용과 관련된 Obama 정권의 핵 비확산·핵 군축·원자력정책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 대화를 중시하는 Obama 대통령의 기본자세에서 핵무기 비확산 조약(NPT)과 IAEA 등 다국 간 조약, 국제기관을 중시하는 정책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Bush 정권과 비교하면 대체로 원자력 평화이용과 핵 비확산의 관계에서는 핵 비확산 중시, 국내의 에너지정책에서는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이용의 효율화의 추진에 중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원자력이 점하는 비중이 저하될 것이 예상된다. 또 상업규모의 핵연료 사이클 시설의 조기도입 노선은 중지될 가능성이 높다.
○ 핵 군축에 대해서는 START I의 후속조약의 체결 등 미·러 간의 핵군축의 추진, CTBT(Comprehensive Nuclear-Test-Ban Treaty)의 비준, 검증조항을 포함하는 FMCT(Fissile Material Cut-off Treaty)의 교섭 개시 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이 틀림없다.
○ 2014년에 기한이 끝나는 한·미 원자력협력협정에 대해서는 Obama 정권 하에서 본격적인 교섭을 하게 될 것이다. 거기서는 한국이 지향하는 고속로 개발, 건식처리 등의 취급이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검토나 기술개발에 시간이 걸리는 핵 비확산 등에 관한 기술적인 조치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를 미리 해둘 필요가 있다.
- 저자
- Senzaki, M., Yamamura,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9
- 권(호)
- 51(6)
- 잡지명
- 日本原子力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58~462
- 분석자
- 문*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