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실내 공기오염

전문가 제언
○ 최근 에너지절약 대책으로 주택이 점차 고기밀, 고단열화 되면서 환기 율은 낮아지고, 화학 합성소재의 사용과 접착제 및 도료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1990년대 이후 새집증후군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공동주택의 환기횟수는 시간당 0.7회 이상의 환기장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2003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공표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 그런데 거주자가 거주하는 동안에 실내공기 질에서 같은 농도로 늘 노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건강 위해성 평가(health risk assessment)는 평균농도로 평생 노출된다는 가정 하에서 평가하며 실측자료가 많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지는데, 대표적인 평가방법으로는 미국 환경부(EPA)의 “화학물질의 건강 위해성 평가”를 들 수 있다.

○ 또한 위해성 평가에 의한 건강목표치도 발암물질의 경우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원칙에 따라 미국은 10-4~10-6, 세계보건기구는 10-5를 인체위해도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권고기준을 삼고 있다.

○ 이 글은 일본에서 장기간의 VOC 노출평가를 통해서 실내 공기질이 외부의 영향을 매우 강하게 받고 있음을 보이고 실내외의 VOC 농도를 측정하고 대상자의 체류시간을 곱하여 개인의 노출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조사에서 4년 이하 공동주택의 경우 톨루엔, m, p-크실렌, o-크실렌의 농도가 높아서 내장재와 마감재에서 발생된 유기화합물이 장기간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 가능성을 보였다. 우리도 개인별 노출농도의 차이가 크다는 점을 인식하고 VOC의 대규모 조사를 통해서 발생원별 관리를 할 수 있는 VOC 맵의 작성 등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다.
저자
Hisao CHIKARA, Shinji IWAMOTO, and Takesumi YOSHIM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64
잡지명
日本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83~688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