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 휘발성유기화합물에 의한 실내오염과 건강영향

전문가 제언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비염, 피부염, 천식 그리고 아토피 등 알레르기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택 내의 VOC 등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과 매우 관련이 깊다.

○ 대기 중의 유기화합물은 존재형태에 따라 휘발성(Volatile), 반 휘발성(Semi-Volatile), 비 휘발성(Non-Volatile)으로 분류한다. 대체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증기압이 10.2 KPa이상이며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SVOC)은 10.2~10.8KPa, 비 휘발성 유기화합물(NVOC)은 10.8KPa 이하를 가리킨다.

○ 대기환경에서 VOC는 탄화수소화합물의 총칭으로 방향족 탄화수소와 지방족 탄화수소 등의 일반 탄화수소와 질소, 수소, 할로겐 원소 등과 함께 알데히드, 케톤류 등의 비 균질 탄화수소로 분류한다. VOC는 화합물자체가 독성이 있어서 환경과 인체에 유해하며 지방족 탄화수소 등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광화학탄화수소 물질 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하기도 한다.

○ 그런데 최근에는 농도는 낮으나 여러 종류의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SVOC)이 주목되고 있는데 이들은 실내공기 중에 존재할 뿐 아니라 집 먼지에서도 고농도로 검출되고 있어서 건강과 환경에 주는 악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다.

○ 이 글은 실내공기와 집 먼지에서 검출되는 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과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이 주택 내 플라스틱소재의 도입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탈산에스테르는 호흡기질환과 알레르기질환에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 실내증후군이나 건물증후군에서 포름알데히드 등 VOC의 악영향에 대한 조사연구는 많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SVOC의 악영향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VOC와 함께 SVOC에 대해서도 주택 내의 실내공기와 집 먼지에 대한 분포현황을 조사하고 건강에 대한 역학조사도 병행함으로서 주거공간으로서 삶의 질 제고에 나서야 하겠다.
저자
Ayako KANAZAWA and Reiko KI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64
잡지명
日本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72~682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