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및 인슐린저항성 치료를 위한 펩티드화합물
- 전문가 제언
-
○ 최근 10년 사이에 지방세포가 증가하거나 크기가 커져 비만이라는 생리적 표현형이 임상적으로 성인병이라 불리는 당뇨병, 고혈압, 고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률이 높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조사에서 밝혀졌고, 실제 체중 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 내장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렙틴, PAI-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전사인자인 TNF-α 또는 Interleukin(IL)-6 등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인슐린저항성을 유발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 포스트 게놈시대에 접어들면서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나 펩티드들이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다. 그 연구의 목표는 펩티드를 기반으로 한 생리 활성 및 기능성을 지닌 물질의 개발로서 신규 펩티드의 발굴과 기능 규명, 고기능성 신규 펩티드와 모방형 펩티드의 개발을 위한 설계와 구조ㆍ기능 연구, 전달체계 관련 연구 등이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어 있다.
○ 생리활성 펩티드는 그 작용기전의 다양성에 비추어 신경펩티드, 항균펩티드, 합성펩티드, C-펩티드, 시그널펩티드, 캐리어펩티드, 실크펩티드 등이 존재하며 그 특성 연구, 작용기전 개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 개발 동향을 보면 의약품, 진단시약 및 기능성펩티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질환 별로 항암, 항균작용을 비롯한 항당뇨, 항염증, 항고혈압, 항고지혈증, 및 항비만 등 다양하며 비교적 생체독성도 약한 편이나 분자량이 크고 생체 내에서 분해가 용이하므로 생체흡수능이나 안정성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구명된 새로운 합성 Ap6 펩티드 군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보다 안전한 비만 혹은 당뇨병성 질환의 치료제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 저자
- Merck and Co., 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170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2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