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토지의 용도 전환과 생물다양성

전문가 제언
○ 많이 연구되고 널리 알려진 생물다양성 변화는 주로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토지용도의 전환(변경), 대기와 토양의 오염 등으로부터도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러한 영향의 조종자들(예, 기후변화, 토지용도의 전환)은 각각 독립적으로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에도 상호작용으로 통합적 상승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 이 논문은 지금까지의 생물다양성 연구에서 거의 소외되었던 토지용도의 전환이 기후변화에 버금가는 조종자임을 설명하고, 앞으로의 생물다양성 연구와 평가에서는 기후변화와 토지용도의 전환이 함께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 토지용도의 전환이란 산림이나 사바나 같은 자연 상태의 토지가 농경지나 도시지역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드물지만 그 반대의 변화도 포함된다. 토지용도의 전환은 흔히 동식물의 서식지를 크고 작은 조각들로 분리하게 되며 이는 동식물의 종(種)들에게 번성과 쇠퇴를 넘어서 지역적 멸종에 이르게까지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 기후변화가 지구 규모로 영향을 미치되 장기적으로 서서히 일어나는 데 반해서, 토지용도의 전환은 지역적이지만 단기간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크게 보면, 도시와 산업단지의 건설은 물론 철도, 고속도로, 운하와 댐의 건설도 서식지를 분할하는 것으로, 어도의 역할 불능과 고속도로에서 동물들이 차에 치어죽는 것을 국내에서도 볼 수 있다. 기후변화가 전 지구적인 주요 문제로서 다루어져야 하지만, 토지용도 전환은 지역이나 국가 규모로 대응할 수 있는 문제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생물다양성을 고려한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저자
Chazal, Laqueline de, Rounsevell, Mark 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9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06~315
분석자
최*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