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동맥박리와 염증반응과의 관련성

전문가 제언
○ 대동맥박리는 연령 의존성이며 생명을 위협하는 사망률이 높은 심장혈관 질병이다. 최근 연구는 염증이 대동맥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림프구 및 대식세포와 같은 염증세포는 단백질분해효소와 세포 접착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반응적 산소종을 방출한다.

○ 염증세포는 대동맥의 동맥에서 평활근 세포의 세포자멸사에 공헌하고 결국 중막 변성을 유도한다. 이 과정은 대동맥박리에서 주요한 기작이라 여겨져 왔다.

○ 전신 염증 생물지표물질의 변화는 대동맥박리에서 급성기 반응 및 합병증과 관련된다. 이 생물지표물질은 대동맥박리의 예후를 예측하고 다른 흉통과 급성 대동맥박리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전산화 단층 촬영술에 의해 대동맥 벽에서 염증세포 활동 증가의 확인은 심각한 임상 증상과는 관련되나 대동맥박리에서 임상결과는 빈약하다. 이런 관찰은 대동맥박리의 기작에 새로운 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 대동맥박리의 발달과 진행에서 염증의 역할을 밝히고 이 염증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대동맥박리의 약리학적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공할 수도 있다.

○ 장래 연구는 대동맥박리의 병인에서 염증 생물지표물질의 역할과 예방 치료에서 statin의 효과에 관하여 더 좋은 증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저자
Fang Luo, Xian-Liang Zhou, Jian-Jun Li, Ru-Tai Hu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35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