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액체정화방법

전문가 제언
○ 지하수나 하천수를 음료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할 경우 인체나 기계에 유해한 과량의 불순물을 제거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물을 정화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오래전부터 인간에게 익숙해져 있는 기술이다. 현재 선진국에서는 물 정화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 음료수의 수질 가이드라인은 세계보건기구의 기준에 따라 관리하게 되어 있다. 먹는 물의 수질 기준은 유해 영향 유기물질, 건강상 유해 영향 무기물질, 소독제 및 소독부산물, 심미적 영향물질 등으로 구분되어 규정하고 있다. 성인 기준으로 매일 2ℓ씩 70년간 음용하는 경우 100만 명당 1명이 인체에 위험성을 일으킬 수 농도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 공업용수일 경우에는 기계의 운전에 손상을 주는 성분이 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거하여 사용하고 있다. 물에 용해되어 있는 결정성 무기물이 제거 대상이 된다. 무기물 가운데 석회는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쉽게 탄산칼슘으로 변하여 반응기기의 기능을 망가뜨린다. 인이 포함된 물도 인산염을 형성한다.

○ 물을 정화하는 순서는 취수, 착수, 혼화, 응집, 침전, 여과, 소독, 정수, 송수, 배수로 규격화 되어있다. 음료수로 건강에 유해한 물질은 중금속과 시안,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물을 정화하는 순서는 일반적인 단계의 일부만을 언급한 특허이다. 결과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 음료수와 공업화용수에 대하여 결정성장 억제제(ATMP)를 사용해서 물에 포함된 응결 물질의 침전을 지연시켜 물을 방류한다. 여기에 응결제를 넣어서 결정체를 만들어 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포괄적으로 제거하는 방식이다. 억제제와 응결제 간의 상호관계를 용해도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저자
Jong et al.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WO2009004510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3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