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산석고의 환경영향과 관리방안

전문가 제언
○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증산 때문에 1960년부터 화학비료의 생산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비료의 주요성분은 질소, 인산, 칼륨이지만 질소와 인이 자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대부분의 인은 인광석을 습식 또는 건식으로 처리해서 회수하고 있으며 습식과정에서는 황산에 의해 다량의 인산석고가 부산물로 발생하지만 15%만 건축자재, 토양개량제 등으로 재활용되고 엄청난 양이 처리되지 못하고 저장된다.

? 이러한 인산석고에는 원래의 인광석에 포함된 방사성 핵종이 잔존하고 감마선이 지속적으로 방출되므로 조기에 격리할 필요가 있다.

? 또한 인은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핵심물질로 조류번식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수역의 인산염 농도 관리가 긴요하다.

○ 최근 선진국에서는 하수, 산업폐수 등 점 오염에 의한 영양염류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지만 축산, 농업에 의한 비점 오염을 차단하지 못하고 있다. 일부 선진국에서는 친환경 영농으로 영양염류의 유출을 차단해서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 인의 주요발생원으로는 비료공장의 인산석고 외에 농업용 비료와 살충제가 차지한다. 그리고 부영양화의 가장 핵심적인 원소는 인이므로 이러한 오염원도 차단해야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우리의 담수자원도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다고 본다.

○ 연간 막대한 인산석고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우리 실정에 맞는 인산석고의 재활용방안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본 원고에서는 재활용이전의 전처리 방법으로 세척이외에 가열처리, 습식체질, 중화, 타 화합물과 혼합 등 이화학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
H. Taybi, M. Chour, F.A. Lopez, F.J. Alguacil, A. Lopez- Delgad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90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77~2386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