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매스에서 프로필렌글리콜 제조촉매

전문가 제언
○ 프로필렌글리콜의 세계 수요는 150만 톤(2007년)으로 수요의 약 70%가 우레탄 원료이며 그 이외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부동액, 식품 첨가제나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프로필렌글리콜의 원료인 프로필렌옥사이드(PO)는 프로필렌의 에피클로로히드린법이나 히드로퍼옥시드법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

○ 석유를 원료로 하는 합성 과정은 프로세스가 길고 환경 친화적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 재생 가능 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사용하는 화학품 제조기술로 변환되고 있다. 이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프로필렌글리콜(1,2-프로판디올) 제조가 시작되었다.

○ 해마다 생산량이 증가하는 바이오 디젤연료 제조에서 부생되는 글리세롤은 재생 가능 자원으로서 근년 주목을 받고 있으며 글리세롤부터 프로필렌글리콜을 제조하는 기술 개발이 활발하며 일부 실용화되고 있다.

○ 젖산은 전분이나 글루코스로부터 발효법으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젖산의 수소화 탈수반응으로 프로필렌글리콜을 얻을 수 있다. Cargill- Dow사는 옥수수 전분을 원료로 하여 발효법으로 젖산을 제조하는 14만 톤/년의 폴리젖산 공장을 이미 가동하고 있다.

○ 솔비톨은 글루코스 또는 전분의 수소화로 제조할 수 있으며 프로필렌글리콜은 솔비톨의 수소화 분해에 의해 한 단계로 합성할 수 있다. 목질자원으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의 제조가 검토되고 있으나 목질자원의 셀룰로오스는 당화되면 글루코스가 생성되므로 솔비톨을 제조할 수 있다.

○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프로필렌글리콜의 제조는 글리세롤의 양과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보이며 원료로는 글루코스가 유력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곡물 전분 이외의 초본류로부터 글루코스 제조 기술의 확립이 주요하다. 세계의 유수의 PPG 생산 소비국인 우리나라도 환경과 자원 확보 면에서 바이오매스 유래의 PPG 제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Takashiro Muro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38(6)
잡지명
ファインケミカル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6~70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