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싱글 이미지를 이용한 유사 고 다이내믹레인지 영상의 생성

전문가 제언
○ 밝은 날 야외에서 촬영된 사진을 보면 밝은 하이라이트 부분은 너무 희게 날아가 버리고 또 어두운 암부는 세부묘사가 분명하지 않고 뭉개져 버리는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 같은 현상은 촬영 영상소자의 다이내믹레인지(계조)가 좁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 사람의 눈은 매우 밝은 영역에서부터 어두운 영역까지 거의 모든 피사체의 인식이 가능하지만 카메라의 감광센서는 고휘도부분과 저휘도부분에 대한 감도특성이 다르므로 촬영 영상소자가 저휘도영역과 고휘도영역에서의 정보를 균등하게 인식하지 못한다는 데 문제점이 있다.

○ 디지털카메라 제조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제거하고자 부단한 연구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고 다이내믹레인지 이미지센서를 장착한 기기를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Fuji-film에서는 CCD 촬영 영상소자에 고감도의 슈퍼픽셀(S)과 저감도의 레귤러픽셀(R)을 섞어 배열한 슈퍼 허니콤 센서를 출시하여 높은 다이내믹레인지의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본고는 일매의 저다이내믹레인지의 이미지로부터 고다이내믹레인지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유사 고다이내믹레인지의 영상처리 기법의 이미지 프로세싱에 관한 고찰 내용이다. 오늘날 디지털카메라 제조사는 이러한 고명암비의 피사체 영상에 대한 다이내믹레인지를 확보하기 위해 촬영 영상소자뿐만 아니라 이미지 프로세서에서도 많은 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현재까지는 촬영된 이미지는 통상 후보 정이라 일컫는 방법을 사용하여 포토샵이나 전용 프로그램으로 명암과 휘도, 컬러 밸런스 등을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저노광사진도 촬영할 때 노출보정을 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과도 노광으로 촬영된 영상은 색 정보를 많이 잃게 되므로 저노광으로 촬영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유사 고 다이내믹레인지 영상 처리기법과 같은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어 앞으로 우수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
Takao JINNO, Masahiro OKU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8
권(호)
32(54)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41~45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