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합물들
- 전문가 제언
-
○ 아데노신 탈아미노효소 단백질 2(ADA)로 알려진 다이펩티딜 펩티다제- 4(DPP-4)는 대부분의 세포형태의 표면에 나타나는 항원성 효소인데, 면역 규제, 신호형질 도입과 세포 소멸과 연루되어 있다.
○ DPP-1 효소는 췌장으로 하여금 보다 많은 인슐린을 만들게 하는 두 가지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과 위억제 펩타이드(GIP)를 무력화시키는데, DPP-4 저해제는 이 효소의 분비를 차단,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간(liver)의 포도당 생산을 중지시킨다.
○ 기존의 당뇨병 치료제는 베타세포를 자극해 인슐린을 분배하게 하거나 지방 및 근육세포에 작용해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키는 것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DPP-4 저해제는 인체의 고유생리적인 방법으로 혈당을 조절해 지금까지 충족되지 못했던 저혈당이나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 없이 당뇨병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 개발 단계에 있는 DPP-4 저해제로서는 머크 제약회사의 시타글립틴, 노바티스 제약회사의 빌다글립틴, 노보노르디스크 제약회사의 리라글루티드 등이 최종 또는 중간 단계의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데, 이 신약들은 단독 또는 기존의 당뇨병 치료제와 병행 투여했을 때 효과가 월등하고, 기존 치료제들의 부작용인 체중 증가 위험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 본 발명의 화합물은 기존의 빌다글립틴의 아다맨틸 그룹의 3위치나 5위치에 적절히 치환된 글루크로닐 그룹을 도입시킴에 의해 새로운 구조의 잠정적인 DPP-4의 저해제가 되는데, 인간 DPP-4의 효소에 대해 저해능력이 뛰어나면서 인간 DPP-8 효소나 인간 DPP-9 효소에 대해서는 효력이 덜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의약품으로서의 개발 전망이 밝다고 하겠다.
- 저자
- Novartis AG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6853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5
- 분석자
- 장*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