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과 해양생태계
- 전문가 제언
-
○ 해양생태계의 종 다양성, 풍부성, 분포 등이 오염물질로 위협받고 있다. 이 분야 216건의 선행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오염물질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 해양생물 서식장소, 오염물질의 종류, 어떤 종류의 오염물질이 종 다양성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종의 대체현상, 이종현상 등을 종합 정리하여 해양생태계 보호조치의 우선순위 설정과 생태계 회복노력에 도움이 되는 자료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 해양석유 채굴을 위한 유정굴착 플랫폼 주위는 금속침전물과 플랫폼 거주 인원의 생활쓰레기에서 비롯한 고 영양 오염물질이 많은데 이 지역은 “빈약한 유전자 종 다양성의 섬”이라고 불린다. 오염물질이 거시적인 생물 종 다양성과 풍부성에 영양을 끼치는 것은 확실하지만 미시적인 유전학적 다양성에 끼치는 영향도 있는데 이 분야는 아직 알려진 것이 별로 없다.
○ 이제까지의 선행연구는 대부분 부드러운 침전물로 이루어진 해저지반 생태계를 대상으로 했는데 단단한 암초나 산호초 생태계에 대한 오염물질 영향 연구가 필요하다. 2002년 열대지역 네 개의 섬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평평한 암초위의 단단한 산호초가 섬의 공장과 농업 오염물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광범위한 생태계 변화를 보였다. 열대 산호초 생태계와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수천종의 해양생물과 조류의 서식처인 우리 근해도 생활하수, 화학물질, 플라스틱 및 기타 폐기물로 오염되고 있다. 폐기물의 대부분이 비닐과 플라스틱이며 매년 수천마리의 해양생물이 비닐을 삼키거나 그물, 비닐봉투 등에 몸이 감겨 죽는다. 바다 새가 삼킨 비닐이 위속에 들어가면 배가 부르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더 이상 먹이를 먹지 않아 굶어 죽으며 비닐봉지는 해파리와 비슷해 이를 삼킨 해양 동물이 숨을 쉬지 못해 죽기도 한다. 낚시꾼, 어선, 관광객 모두의 환경의식이 필요하다.
- 저자
- Emma L. Johnston, David A. Robert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157
- 잡지명
- Environmental Pol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745~1752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