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 그래핀과 나노 다이아몬드

전문가 제언

○ 2004년에 발견된 그래핀은 탄소가 육각형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벌집 모양의 평면구조를 이루는 물질이다. 원자 한 층 정도의 두께(0.35㎚)를 지닌 세상에서 가장 얇은 물질로 물리적인 구조나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되며 현재 반도체에서 사용되는 단결정 실리콘보다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월등히 좋고 신축성이 뛰어나서 꿈의 나노 소재로 불리고 있다.

○ 그래핀은 실리콘 반도체를 대체할 신소재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를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이 최근에 국내에서 개발되었다. 반도체 공정에 적용이 가능한 직경 10㎝ 크기의 대면적 그래핀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로 등을 구성하는 패터닝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나노 물질에 대한 국내에서의 도전에 큰 자극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나노 다이아몬드는 풀러렌이나 나노튜브와 같이 탄소기반의 나노물질로서 나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독성평가 결과 다양한 세포형태에 대하여 독성을 띄지 않는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특이한 특성을 이용해서 약물, 유전자 및 단백질의 운송체로서, 이미징 기술 및 바이오센서를 비롯한 생체 의료용 기기로서 응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IT 기술이 대용량화 극소형화를 향해 엄청난 속도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나 실리콘을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기술은 한계에 와 있다. 차세대의 소재나 제품에 있어야 할 요구조건을 실리콘을 대체해서 동시에 모두 만족시키는 꿈의 소재가 나노 그래핀과 나노 다이아몬드라는 나노물질이다. 가까운 장래에 탄소 나노물질의 등장이 전자산업의 인식체계를 크게 바꿀 것으로 본다.

○ 나노 그래핀과 나노 다이아몬드는 차츰 그 구조와 독특한 성질이 파악되면서 실용화에 대한 무한한 기대를 갖게 한다. 새로운 구조의 신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물질에 관한 탐구에 있어,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경제적인 지원이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어 나노과학과 나노기술의 선진국으로서 발돋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
Toshiaki Eno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29(6)
잡지명
機能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5~22
분석자
김*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