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고체촉매의 활성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료물질의 올레인 식물로 아주까리, 아프리카 팜, 콩, 평지 씨, 해바라기, physic nut(jatropa curcas), 엉겅퀴 씨 등이 있고 사용한 식물유로는 식당, 호텔, 가정에서 수집한 식물유와 동물 지방으로는 도살장에서 지방을 얻을 수 있다.
○ 2005년 에탄올과 바이오디젤 생산에 주로 사용된 원료는 브라질에서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데 사탕수수원료를 사용하여 16,489×106ℓ, 미국은 옥수수를 원료로 사용하여 16,217×106ℓ, 중국은 옥수수와 밀을 원료로 사용하여 1,998×106ℓ 그리고 바이오디젤 생산에서는 독일은 평지 씨를 사용하여 1,917×106ℓ, 프랑스는 콩을 사용하여 511×106ℓ, 미국은 평지 씨를 사용하여 291×106ℓ를 생산하였다.
○ Yang과 Xie는 콩 오일을 바이오디젤로 전환하기 위하여 다른 촉매지지체에 알칼리토류금속을 부착하여 촉매성능을 비교하면서 지지체 상의 촉매부하 양과 오일전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내었다. 이의 결과 촉매성능은 촉매 표면 위의 염기사이트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았다.
○ 이 글에서는 고체촉매에서 촉매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표면적, 공극사이즈, 공극용량 및 촉매 표면상의 활성사이트 농도이었다. 더더욱 활성재료의 원재료 타입은 지지된 촉매활성에서 더욱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어떻든 활성사이트 농도는 고체 촉매성능에 가장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알았다.
○ 알루미나, 실리카 및 산화아연과 같은 촉매 지지체 사용은 3상 반응에 의한 질량 이동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공극 내부에 부착된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 촉매 지지체는 반응도중 침전으로 인해 방해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메틸에스테르수율과 오일전환 양은 촉매활성에 달려있을 뿐만 아니라 오일타입과 적용 운전조건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 저자
- Masoud Zabeti, Wan Mohd Ashri Wan Daud , Mohamed Kheireddine Arou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9
- 권(호)
- 90
- 잡지명
- Fuel Processing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70~777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