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 퇴적물수지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해양은 절반이 넘는 온실가스를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육상에서 이송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등, 지구환경 보전에 큰 역할을 한다. 특히 하천의 유역은 육상 오염물질이 해상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있고, 오염물질의 일부가 처리되기도 한다.
○ 수리학적 요소 외에 토지사용 변화 및 다른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미세 퇴적물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어류 산란장이 파괴되고 비점오염물질이 증가한다. 궁극적으로 하천 또는 연안 생태계의 파괴를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미세 퇴적물이 포함되는 유역 퇴적물 수지를 철저하게 관리하여야 한다.
? 토지사용 변화가 유역 퇴적물 수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하나, 토양침식이 증가하면 퇴적물의 축적도 커지면서, 육지의 오염도 증가한다. 그러나 퇴적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면, 어류산란을 포함해 서식지 파괴 등 수중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으므로 퇴적물 수지를 일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도 대규모의 주거단지, 공단개발, 도로건설 및 묘지, 골프장 건설로 인한 토지사용 변경으로 유역의 퇴적물 수지에 악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토지사용 변경은 엄격하게 제한되어야 하고, 허가조건에는 토양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2010년부터 해양 투기가 금지되므로, 대량으로 발생하는 액상 슬러지를 육상에서 적절하게 처리하지 못하면, 유역생태계 또는 연안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연근해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유역퇴적물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역별로 퇴적물 수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해당 수역의 퇴적물 발생원 및 퇴적물 관리용 지표개발도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D.E. Walling, A.L. Collin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8
- 권(호)
- 11
- 잡지명
-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6~143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