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서부 Nevada주의 풍력특성 및 풍력에너지 잠재력

전문가 제언
○ 서부 Nevada의 풍력 잠재력을 4개의 50m 높이의 탑으로부터 4년 반의 기간에 걸쳐 풍력, 온도 및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탑의 계절적인 풍황은 봄철에 최대가 됨을 나타내었다.

○ 모든 계절과 월별 주간 풍속은 늦은 아침기간에 최저를 나타내고 늦은 오후기간에 최대를 나타냄을 보여주었다. 봄철 다년간의 시간 풍속 최대치는 8m/s이고, Tonopah탑의 최적 터빈 회전에 적합한 풍속인 5~25m/s의 풍속 빈도는 70% 혹은 그 이상이고, 그 외의 3개 관측 탑에서의 풍속은 Tonopah보다 약하다.

○ 시간별 난류 강도는 고도가 낮은 데서 강하며 10m 지점에서 풍속이 약할 때(5.0m/s 혹은 그 이하)에 약 0.35 혹은 그 이상으로 나타났다. 강한 난류 강도는 봄철 및 여름철에 4개 관측소의 모든 높이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계절에는 약한 난류가 관측되었다. 2003~2007년 기간의 일일 돌풍 인자인 25m/s를 초과하는 돌풍 확률은 2% 혹은 그 이하였다.

○ 풍력발전은 장소에 따라 동일한 용량일지라도 발전량에 차이가 나므로 미국에서의 풍력관측사례가 우리에게 타산지석이 되리라 믿는다.

○ 우리나라가 지향하는 녹색성장에서 풍력에너지가 가장 경제적인 재생에너지원이라고 생각되며 앞으로의 개발이 기대된다. 풍력터빈은 설치비가 고가이나 이를 우리 기술로 국산화한다면 일자리 창출과 수출산업에도 기여하리라 믿는다. (주)태영은 풍력터빈 부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두산중공업은 풍력발전설비 전체를 제작하는 일관공정을 완비하였다. 풍력발전에 의한 재생에너지의 활용과 풍력터빈의 수출산업화가 다 같이 기대된다.
저자
Radian Belu, Darko Korac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46~2251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