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류 및 미생물과 같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공정

전문가 제언
○ 현재 세계적인 석유연료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른 채취가능 석유매장량의 고갈우려와 함께 석유연료의 연소에 의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의 발생 때문에 석유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재생가능 연료의 개발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재생가능 원료자원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와 더불어 식물자원으로부터 추출한 기름성분이 여러 가지의 식물색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 정제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이 발명(WO 2008/134836 A2)은 물중에서 생장하는 거대조류(macroalgae), 미세조류(microalgae) 및 기타 물중의 유기체와 같은 광합성 유기체 및 사탕수수 폐기잔재 등과 같은 목질섬유소 추출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업적 가치가 있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기술에 관한 특허이다. 특히 이 공정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공정 중에서 나오는 배출물질을 재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 향후 바이오디젤이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옥수수, 콩 등의 식용자원과 경합하지 않는 바이오자원의 확보는 물론 기존의 바이오디젤 제조공정 및 제품에 있어서 기술적 문제점인 높은 겔화점, 글리세롤의 분리, 물에 의한 오염, 엔진의 부식 및 손상, 마일리지의 감소 등 근본적인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바이오매스 자원은 식량과 경합하는 식용자원에서 탈피하여 볏짚이나 목재, 해조류 등 초본 셀룰로오스로 원료자원을 전환하여 자급체제를 갖추는 것이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쌀겨와 폐식용유, 대두유 등을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있다. 2004년부터 2년간의 시범사업을 통해 2006년 7월부터 바이오디젤의 상용화가 시작됐지만 아직 소규모이다. 최근 지식경제부, 농림수산식품부 등의 지원 하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경대학교, 에너텍 등은 우뭇가사리 등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연료 생산에 성공했다.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산학연관의 협력체제에 의한 바이오연료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Ourofino Participacoes E Empreendimentos Ltd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8
권(호)
WO20080134836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5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