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포창에서의 세포자연사
- 전문가 제언
-
○ Pemphigus(천포창 또는 물집증)은 수포군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일군의 피부 질환을 지칭하며 심상성 천포창이나 낙엽성 천포창과 같이 수식어를 붙여 특수한 질환을 표시한다. 심상성 천포창(pemphigus vulgaris)는 일반적으로 천포창을 대표하며 재발성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부신피질호르몬이나 면역억제제를 이용한 치료로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Acantholysis(극세포분리증)은 표피 각질세포 간의 세포-세포 접착의 파괴로 세포간 시멘트질의 용해에 의해 일어난다. 교소체(desmosome)의 이차성 파괴가 뒤따르며 경우에 따라 명백한 세포 변성이 나타난다. 이것은 심상성 천포창과 낙엽성 천포창 및 다른 종류의 피부 질환에서 표피성 수포 형성과 관련이 있다.
○ 일반적으로 apoptosis로 알려진 유전적으로 프로그램 되어있는 세포자연사(programmed cell death)는 많은 생물종에서 중요한 기능을 갖는 생명현상 중의 하나이다. Apoptosis로 사멸되는 세포는 먼저 유전체가 절단되어 단편화되고 외막이 부풀어 기포 모양으로 변하여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기 전에 주위의 식세포에 의해 포식되어 소멸된다. 이와 달리 물리적인 손상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의 괴사(necrosis)는 세포막의 파열로 내용물이 유출되어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 Apoptosis의 일차적인 기능은 불필요한 세포를 제거하는 것이다. 동물과 같은 다세포 고등생물에서 apoptosis는 조직의 발생, 항상성 유지, 재생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는 불필요한 세포의 제거라는 단순한 수동적인 역할 외에 죽은 세포와 정상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한 조직의 항상성 유지와 재생이라는 능동적 역할을 수행한다.
○ 천포창 환자의 병소에서 세포자연사가 관찰되지만 극세포분리증과 반드시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In vitro에서 천포창의 자가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극세포분리 현상은 세포자연사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어떤 실험조건에서는 in vivo와 in vitro에서 천포창의 자가항체에 의해 세포자연사가 유도되기도 한다.
- 저자
- Enno Schmidt,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
- 잡지명
- Autoimmunit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33~537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