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윈 클러치 SST의 특징
- 전문가 제언
-
○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온실효과기체(green house effect gases)의 대기 중 농도가 상승하여 야기되는 지구온난화 문제는 지구에 갖가지 영향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보고서에 의하면 앞으로 특별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21세기 중 지구 전체의 평균온도는 10년마다 약 0.3℃, 2025년까지에 약 1℃, 21세기말경에 약 3℃ 상승이 예측된다.
○ 듀얼 클러치변속기(dual clutch transmission)는 홀수단과 짝수단을 담당하는 각각의 클러치를 채용해 변속타임을 최소화한 것이 포인트다. 기본적으로 기어박스(gear box)는 수동기어박스를 베이스로 자동 변속 기능을 채용한 것이지만 자동변속기와 달리 유성치차를 사용하지 않고 평치차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 습식 듀얼 클러치(wet dual clutch)의 경우 클러치와 변속 동작에 유압을 사용하고 있어 유압 펌프(hydraulic pump)와 클러치 냉각손실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고 습식 클러치와 유압펌프, 유압경로전환용 밸브보디(valve body) 등에 의해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에 성능 향상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만큼의 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는 듀얼 클러치의 개발과 클러치와 변속동작을 모터(motor)로 전동화하는 연구 등이 진행되어야 하며, 더불어 토크 허용한계에 대한 범위를 확대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 더블 클러치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즉 듀얼 클러치변속기가 향후 대중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폭스바겐(volkswagen)은 2011년까지 모든 자동변속기를 DSG로 바꿀 것이라고 발표했고, 아우디(Audi) 역시 더블 클러치변속기를 전 라인업(line up)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미국의 빅3, 일본 메이커에서도 큰 관심을 가져 고성능에 경제성까지 겸비한 더블 클러치변속기 시대가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것이다.
- 저자
- Takashi Sasakura, Kunishige H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8
- 권(호)
- 62(9)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75~82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