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기능금속재료를 목표로 한 기능분자 고정화기술
- 전문가 제언
-
○ 우수한 강도와 인성을 가지고 있는 금속재료는 의료용 디바이스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체내 삽입형 디바이스(implant: 임플란트)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가장 생체조직에 적합한 티탄이라도 인공재료가 갖는 문제점인 생체적합성, 생체기능성 면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치료 효과 효율을 개선, 궁극적으로 환자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필요불가결하다.
○ 본고에서는 전형적인 인공재료인 금속에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 억제, 세포접착 억제, 혈소판점착 억제, 바이오필름 형성방지, 골 형성촉진, 연조직접착성에 대하여 생체기능을 주기 위한 기능분자 전착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은 전하를 가지고 있어 본고에서 소개한 전착기술을 활용하여 고정화에 직접 응용이 가능하다. 또 양성이온을 매개로 하는 고정화기술은 연(軟)조직접착제 개발 등에 응용 가능하다.
○ 생체소재는 인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만큼 생체친화성과 생체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장기간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제품이 개발되어 시장화 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과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이 분야는 앞으로 높은 부가가치로 급성장할 수 있는 미래중심기술이라 할 수 있어 끊임없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HANAWA TAKA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57(6)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8~52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