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용 전기동력기술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 1997년 말 일본에서 처음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보급된 이래로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150만대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보급되었다는 사실은 자동차의 전기동력화를 통한 자동차 문명의 변혁이 시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이 자료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보급과 연료전지 자동차의 기술개발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일본의 주요 완성차 제조업체와 자동차 개발기관의 전문가들이 자동차의 전기동력화 현황과 장래 전망에 대하여 기술한 보고서이다.

○ 우리나라의 LG화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산체제 구축에 착수하였으며, 삼성 SDI는 독일의 세계적 자동차부품 개발기업인 Bosch와 협력하고 있는 등 자동차용 이차전지 분야에서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 우리나라 정부도 환경친화형 자동차의 보급을 위해 각종 혜택을 부여하는 등 구체적인 정책을 펴기 시작하였으나 이는 완성차 제조업체의 기술력을 키우겠다는 좁은 목적으로 추진되는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의 경우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에너지원 다양화를 통한 에너지안보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자동차에 접근하고 있으며 제조업체의 국적을 구별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미국도 한편으로는 자국 내 자동차업체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막대한 개발자금을 지원하고 있기도 하다.

○ 우리나라는 국민 모두가 환경친화형 자동차를 선호하고 있으므로 정부는 이를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속히 시행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대기환경을 개선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감소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여기서 추가로 생각해볼 수 있는 점은 개별기업의 이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지속 가능한 국제경쟁력 확보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저자
Y. Ujiie,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63(1)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0~45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