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자변형 연어의 생태환경영향

전문가 제언
○ 식물에 대해서는 유전자변형이 많이 진행되어 미국의 콩, 옥수수, 면화, 유채 네 가지 종 생산량의 99%가 유전자변형된 것이다. 그러나 동물의 유전자변형에 대한 연구의 허용기준이나 규제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 동물 유전자변형 중 가장 앞선 부문은 어류인데 이는 어류가 알의 양이 많고 수중교배가 비교적 손쉽기 때문이다. 미국식품위생국(FDA)에 유전자변형 연어를 미국 식품시장에 내놓기 위한 심사요청이 들어왔는데 이를 계기로 유전자변형 연어의 특성, 독성, 건강 영향, 환경 영향에 대해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 유전자변형이 천연동물종과 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와 국가적, 국제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생식기능을 제거하거나 생태계 적응력 감소를 통해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환경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여러 세대가 지난 후 장기적 파급효과가 어떻게 될지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전자변형 식품을 허가할 때는 최대한 격리된 생태계 안에서 양식되고 있는지 사전 환경영향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유전자변형 생물체를 천연생태계에 방류하는 것은 신중해야 하고 허가 후에도 지속적인 현장검사를 통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살아있는 생물의 종을 특허권을 통해 소유권을 가진다는 것이 윤리적인지는 의심스럽다. 과거 유럽의 굴양식 산업이 전염병과 기생충 때문에 두 차례 큰 피해를 입은 후 굴의 품종 자체가 전염병과 기생충에 강하도록 유전자가 변형된 품종으로 바뀌어 버린 선례가 있다. 생물체에 대한 특허권은 천연생태계 환경을 인위적 환경으로 바꾸며, 인위적환경은 선진국 대기업에게 특허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소규모 양식업자와 가난한 나라에는 매우 불리하다. 개발도상국의 어업산업은 경쟁력을 잃게 되고 양식업자들은 살아남기 위해서 유전자변형 품종을 선택하여 다국적기업의 지배하에 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저자
Olivier Le Curieux-Belfond, Louise Vandelac, Joseph Caron, Gilles-Eric Serali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2
잡지명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0~189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