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품질평가 국제규격을 기반으로 한 사용성의 평가기술
- 전문가 제언
-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의 이용분야가 확대되고 많은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결함이 사회와 개인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되고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술적 접근방법으로는 설계 및 검증에 활용되는 기법 및 툴의 활용에 의한 품질개선을 들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관리적 측면에서 목표로 하는 품질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달성 목표를 측정?평가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 소프트웨어의 품질은 요구되는 기능성과 신뢰성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만족도 향상, 경쟁제품에 대한 우위성 확보 등이 포함되며, 이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사용성(usability)이 중요하므로 개개의 특성에 대한 평가기술이 중요하다.
○ 이용자와 개발자 사이에 품질에 대한 조건을 협의하고 제품을 비교 평가할 때 품질평가 기준이 사람에 따라 다르면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ISO/IEC JTC1 SC7/WG6에서는 소프트웨어의 품질구조 모델, 평가기술, 평가절차 등의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1987년에 정보처리학회 내에 정보규격조사위원회를 설치하여 소프트웨어 품질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국제표준화 작업항목의 제안, 규격안의 작성 등을 통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는 설계, 시험, 운용 등의 단계에서 실시되고 있다. 설계단계에서는 설계서에 기반을 둔 정적평가를 실시하고, 시험단계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가동시킨 결과를 기반으로 한 동적평가를 실시한다. 또한 실제로 운용단계에서는 이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한 경우 이용자에 대한 영향을 이용하여 평가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품질향상 및 그 평가기술이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Doshihaku Taka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8
- 권(호)
- 61(2)
- 잡지명
- NEC 技報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8~52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