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대사물질 검색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 전문가 제언
-
○ 신약 개발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신약의 약물동력학(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사산물의 분석과 후보물질의 대사특성에 관련된 정보가 대단히 중요하다. 대기압 이온화 기술인 전기 분무 이온화기술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HPLC/MS)의 조합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 기술은 대사산물 같은 복잡한 조성의 생체물질 분석에서 가장 강력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 TOF, Q-TOF, FTICR(orbitrap) 같은 다양한 질량분석기들이 대사산물의 분석에 활용되고 있으므로 사용하는 기술에 따라 대사산물의 검색과 확인 과정이 실험실에 따라 다르고, 따라서 데이터의 질과 결과에 대한신뢰도가 어떤 실험실이 최적화된 장비를 사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 다양한 LC/MS 기기가 신약 개발에서 대사산물의 분석에 활용됨에 따라 표준화된 분석과정이 없는 신약 개발의 특성에 비추어 목적에 맞는 기기를 선택하는 일 또한 대단히 중요하다.
○ FTICRMS는 여러 면에서 성능이 우수하나 일반 실험실에서 구비하기에는 대단히 고가의 장비이다. 높은 검출감도와 넓은 질량범위, 우수한 질량분해능과 질량 정확도를 가진 Q-TOF 질량분석기가 신속하고 가장 비용-효율적인 장비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사중극자 제조기술의 발달로 정량분석 데이터의 질이 제고되었으며 collision cell-activated MS/MS가 가능하게 된 점도 Q-TOF의 장점으로 생각된다.
○ Lab-on-a-chip 같은 소형화된 분석 디바이스와 나노 크로마토그래피 기술을 조합하여 단일 칩에서 질량분석기에 분석대상물질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마이크로칩 전기영동 디바이스를 접목한 질량분석기가 개발되어 대사물질의 분리와 검색에 필요한 시료의 양도 submicroliter로 가능하게 되었다.
- 저자
- Ari Tolonen, Miia Turpeinen and Olavi Pelkone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4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20~133
- 분석자
- 엄*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