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원자력에너지 전략

전문가 제언
○ 지구의 인구증가와 중국, 인도와 같은 국가의 급속도의 경제성장으로 에너지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원자력은 지하자원이 풍부하고 온실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화석연료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에너지다. 원자력이용에 따른 중요한 문제점은 핵물질 확산방지와 사용후핵연료의 처분이며,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 본 문헌은 중국의 원자력에너지 전략을 분석하였다. 중국은 짧은 기간동안에 원자력에너지 정책을 확장하여 왔다. 중국은 현재 11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의 8.6GWe에서 2020년까지 40GWe로 용량을 확장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은 필요한 우라늄 양의 과반을 외국에서 수입하여야 한다.

○ 또한 Areva는 2027년을 목표로 Gansu성에 연 800톤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시설을 건설 중에 있다. 본 문헌은 중국의 원자력에너지계획은 우라늄 공급과 폐기물처리능력이 상호 균형되게 신중하게 확장할 것을 제의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총용량 17.5GWe의 2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운전하고 있으며 6기를 추가 건설 중이다. 사용후핵연료는 현재까지 약 1만 톤이 발전소 부지 내 저장조에 임시 저장되고 있으며, 2016년이면 저장용량이 포화상태가 된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사용후핵연료의 재활용과 Minor actinide의 소멸을 위하여 파이로프로세싱과 소듐고속로를 개발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간저장시설을 비롯하여 사용후핵연료관리 정책결정이 시급하다. 사용후핵연료의 재처리는 현재 한미원자력협정에 의하여 금지되고 있다.
저자
Q. W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37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487~2491
분석자
강*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