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남극반도의 플라이오세 대륙빙하

전문가 제언
○ 대기 중 CO2의 증가로 지구온난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 극지방의 눈과 얼음이 녹음으로써 해수면이 상승하게 된다. 기온과 해수면의 상승은 자연과 인류의 생활환경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므로 인류에게 큰 재앙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CO2 발생을 줄임으로써 지구온난화를 늦추는 것은 물론 온난화가 미칠 영향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은 과거의 지질시대인 플라이오세의 온난한 기간 동안에 기록된 지질학적 증거들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지구온난화가 남극지방의 대륙빙하에 미칠 영향을 추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남극대륙으로부터는 남극반도가 북쪽으로 길게 뻗어나와 있다. 남극반도에서는 신제3기 동안 화산활동이 활발하여서 화산암체들이 기반암 위에 형성되었는데 그 때에 화산과 대륙빙하가 직접 만나고 반응하였다. 그런 과정은 육상의 지형, 빙하 퇴적물, 암석표면의 조선(條線), 그리고 해저퇴적물에 다양한 자료를 남겼다.

○ 육상과 해저의 자료들을 종합한 결과 남극반도의 대륙빙하는 신제3기 동안, 특히 플라이오세 중에 두께(350~500m)와 면적이 변하기는 했어도 지속적으로 존재하였고 대륙붕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 플라이오세의 온난한 기간에도 남극반도를 포함하는 남극의 대륙빙하가 사라지지 않았으므로 남극대륙의 빙하는 앞으로의 기후온난화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 논문에서는 기온이 지금보다 4.5?? C 높아질 때까지는 남극의 대륙빙하가 존재할 것으로 결론지었다. 그러한 해석이 맞더라도 4.5? C는 결코 안심할 만한 여유가 못되므로 CO2의 감축과 기후변화에 미리미리 대비하여야만 한다.
저자
Smellie, John L, Haywood, Alan. M, Hillenbrand, C. D, Lund, D. J, Valdes, P. J.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9
권(호)
94
잡지명
Earth-Science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79~94
분석자
최*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