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길항제의 효용성
- 전문가 제언
-
○ Cannabinoid(CB)는 대마초 성분의 총칭으로 5-pentylresorcinol의 2위치에 2개의 isoprene이 결합되어 있는 기본골격을 갖는 화합물 또는 그 고리체, 산화체 및 전위를 일으키는 일련의 화합물 군으로 다양한 신경정신 관련 생물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 내인성 CB는 활성성분(THC: tetrahydrocannabinol)과 유사한 천연화합물로서 대마초로부터 THC라는 활성성분이 동정된 이후 과학자들은 식물성 CB인 THC의 결합부위 발견과 그 수용체(CB1, CB2)의 클로닝 그리고 내인성 리간드인 anandamide(AEA) 등의 발견을 통하여 인체 내에 내인성 CB시스템이 존재한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내인성 CB는 CNS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용성 신호전달 분자로서 다양한 생리적 행태적 결과를 초래한다. 내인성 CB의 신경전달이 증가되면 오심구토의 완화, 식욕촉진, 진통, 불안감 해소, 항 경련작용, 안압 감소 등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다.
○ 대마초의 핵심성분인 tetrahydrocannabinol(THC)은 허기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현상이 생기는 이유가 뇌에 존재하는 CB 수용체에 기인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는 했으나 이에 대한 증명이나 이해는 부족한 형편이었다. 이에 대한 의문을 풀어줄 연구보고서 한 편이 미국의 저명한 학술지 Neuron지에 발표됐다. 이 연구는 CB 수용체인 CB1과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호르몬 물질인 렙틴(leptin)의 신호가 어떤 기전을 통해 통합되면서 식욕과 관련된 신경망 구성에 관여하는가를 규명한 것이다.
○ 비만은 그 자체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비만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사회적 장애와 과다한 지방으로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지방간, 관절이상의 발생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본 발명을 통해서 CB 수용체 저해제 합성물질로부터 CNS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한 새로운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제가 개발되는 것은 바람직하나 좀 더 명확한 안전성과 임상적 효과 구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JENRIN DISCOVERY, MCELROY JOHN, CHORVAT ROBERT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9264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2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